• 로그인
  • 회원가입
    1. 암 예보(서울) : 좋음
      미세먼지(서울) : 마스크 미착용
    2. 암 예보(부산) : 좋음
      미세먼지(부산) : 마스크 미착용
    3. 암 예보(대구) : 좋음
      미세먼지(대구) : 마스크 미착용
    4. 암 예보(인천) : 좋음
      미세먼지(인천) : 마스크 미착용
    5. 암 예보(광주) : 좋음
      미세먼지(광주) : 마스크 미착용
    6. 암 예보(대전) : 좋음
      미세먼지(대전) : 마스크 미착용
    7. 암 예보(울산) : 좋음
      미세먼지(울산) : 마스크 미착용
    8. 암 예보(경기) : 좋음
      미세먼지(경기) : 마스크 미착용
    9. 암 예보(강원) : 좋음
      미세먼지(강원) : 마스크 미착용
    10. 암 예보(충북) : 좋음
      미세먼지(충북) : 마스크 미착용
    11. 암 예보(충남) : 좋음
      미세먼지(충남) : 마스크 미착용
    12. 암 예보(전북) : 좋음
      미세먼지(전북) : 마스크 미착용
    13. 암 예보(전남) : 좋음
      미세먼지(전남) : 마스크 미착용
    14. 암 예보(경북) : 좋음
      미세먼지(경북) : 마스크 미착용
    15. 암 예보(경남) : 좋음
      미세먼지(경남) : 마스크 미착용
    16. 암 예보(제주) : 좋음
      미세먼지(제주) : 마스크 미착용
    17. 암 예보(세종) : 좋음
      미세먼지(세종) : 마스크 미착용

아이디 /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혜택을 누려보세요.
올캔서 회원가입 하기

암종별 증상 및 치료법

Home>암정보센터> 암종별 증상 및 치료법

구순암 - 개요

작성자 : 올캔서|발행일 : 2017-05-08|조회 : 951|댓글 : 0

발생부위

입술은 외부에서 구강으로 통하는 입구입니다. 입술은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근)이라 불리는 근육이 내부에 있고 안쪽 면은 점막, 바깥쪽 면은 피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륜근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환형의 근육입니다. 구륜근은 미묘한 발음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입술 가장자리의 미세한 움직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입술을 수축하고 긴장시키는 작용 외에도 얼굴 중앙부위의 근육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 점을 제공합니다
점막부위는 협점막(buccal mucosa)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입술의 부위

입술의 붉은 부위를 주홍 혹은 홍순(vermilion)이라 하고 이 부위와 피부가 접하는 부위를 주홍경계(vermilion border)라고 합니다. 주홍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풍부한 혈관 분포가 얇은 상피 조직을 통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윗입술(upper lip)의 중앙에 밑으로 굽은 부위를 큐피드의 활(cupids bow)이라고 하며 여기에서 비교(nasal bridge)까지 움푹 들어간 부분을 인중(philtrum)이라고 합니다. 인중의 직하부 주홍의 중앙에 입술이 도톰해진 부위를 구순 결절(labial tubercle)이라 합니다
입술과 뺨을 경계 지우는 입술의 끝에서 코의 측면 끝에 이르는 움푹 파인 부위를 비순구(nasolabial groove)라고 하고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만나는 곳을 구순 접합선 또는 구순 교련 혹은 구순 교차(labial commissure)라고 합니다
입술로의 혈관 공급은 안면동맥의 순측 가지가 주공급원입니다. 아랫입술의 운동신경은 안면신경의 하악가지의 지배를 받고 감각신경은 하치조신경의 턱끝 신경(mental nerve)의 지배를 받습니다. 구순 교련의 운동신경은 안면신경의 협측가지이며 윗입술의 감각은 상악신경의 하안와 신경(infraorbital nerve)입니다
입술의 모양을 유지하는 환형의 근육인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 근)은 외근(extrinsic fiber)과 내근(intrinsic fiber)으로 구성됩니다
외근은 다른 안면근으로부터 출발하는데 협근(buccinators muscle, 볼근), 구각거상근(levat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 입꼬리올림근), 구각하체근(depress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 입꼬리내림근), 상구순거상근(levator muscle of the upper lip, 윗입술올림근), 대협골근(greater zygomatic muscle), 하구순하체근(depressor muscle of the lower lip, 아랫입술 내림근) 등이 있습니다
내근은 협근, 구각거상근과 구각하체근 그리고 그 외 근섬유들로부터 출발합니다
협근(buccinators muscle, 볼근)은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둘레근)의 심부를 형성하는데 하악골로부터 출발한 근섬유는 윗입술로 주행하고 상악골로부터 출발한 근섬유는 아랫입술로 주행합니다. 중간부위의 근섬유는 구각(입꼬리)에서 교차하고 가장 상단과 하단의 근섬유는 교차 없이 중앙선을 지나 각각 윗입술, 아랫입술로 주행합니다
구각거상근과 하체근(levator and depress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은 협근(buccinators muscle, 볼 근)보다 표층에 위치하며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 근) 외근의 또 다른 층을 형성합니다. 거상근으로부터 출발한 근섬유는 아랫입술로, 하체근으로부터 출발한 근섬유는 윗입술로 주행하며 이 근 섬유들은 입술을 따라 주행하여 중앙선 근처의 피부에 부착됩니다

 

정의

구순암은 윗입술 혹은 아랫입술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백인에서 햇볕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색인종에서는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순암이 많이 발생하는 서양의 통계에 따르면 거의 61 정도로 남성에서 많으며 어린 나이에서는 드물고 주로 50세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종류

구순암은 백인에서 흔한 서양의 통계에서는 구순암 중 가장 호발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기도 하며 전체 구순암의 25-3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90% 이상이 아랫입술에서 발생하며 윗입술과 구순 교차(labial commissure,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만나는 곳) 부위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병리조직 소견으로는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이 대다수이며 이외에 우췌상암(verrucous carcinoma), 방추세포암(spindle cell carcinoma),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흑색종 및 타액선 기원의 암종 등이 발생하며 드물게 육종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관련통계

2016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4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17,057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 중 구순암은 남녀를 합쳐서 43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02%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 조사망률도 산출 기준이 동일) 0.1건입니다

남녀의 성비는 2.1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29, 여자는 14건이었습니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48.8%로 가장 많았고, 60대와 80대 이상이 14.0%의 순이었습니다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